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本 관련 고문헌 330여 점 일괄
- 전체 품목
(1) 은진 송씨 집안 관련문서 등 77점 일괄(2회 고완관지 출품)
(2) 필사본 및 한적류 112책
(3) 간찰류 47점(이 가운데 11점 2회 고완관지 출품)
(4) 호구단자 13점
(5) 소지류 16점
(6) 기타 70여 점
(1)은진 송씨 집안 관련문서 등 77점 일괄
조선시대
88x58cm 외
1. 토지매매문기 11매
嘉慶16년(1811) 육재관과 송환승부터 광무15년 송병석까지 매매문기 11매
2. 죄수 박광묵의 소지
무술년 10월에 술에 취하여 좌수와 시비가 붙은즉, 회덕관이 22일에 취중에 일어난 일이므로 석방하라는 제사를 내려줌.
(題辭)
所告 歸之於醉中 故放釋向事 卄二日
3. 회인(懷仁, 충북 보은) 거주 송흠덕 산송소지 2매
무술년 12월에 송흠덕이 잠시 무덤을 만든 바 이덕여와 논쟁이 벌어져 구타를 당하자 소송을 냈다.
제사(題辭)에 인접한 묘지가 경계를 넘었다 한들 넓고 멀어 금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덕여와 정항기를 잡아오라고 12일에 내림.
4. 송병석(宋秉奭)과 양광표간 소송 5매 (光武年間)
광무11년(=1907) 3월에 원고의 종형인 상인 병혁이 죽자 같은 상인인 양광표간에 쌀 판매대금 문제로 벌어진 소송.
관에 갇힌 원고가 모친이 죽을 지경에 놓이자 피고를 찾아 합의를 보아야 하는데 나타나지 않자 이에 소를 제기하여 서로 간에 합의를 보았다는 내용.
5. 원고 송병석과 피고 박재덕 사이의 산송 4장과 도형 1장
광무11년 6월경에 공주목 유등천면 사정에 사는 송병석과 경기 광주에 사는 박재덕 간에 묘지를 옮기는 시기의 문제로 다툰 것으로 피고가 제멋대로 묘 주위에 고랑을 판 것은 지나치다고 하여 피고를 구류하라고 판시한 제사(題辭)가 있다.
6. 발괄소지 2장
공주목 유등천면 산적동에 사는 송생원에게 이수복이 봄에 돈을 빌리고 가을이 되도 갚지 않으므로 소를 올리자 제사를 내리기를 수복에게 즉각 추봉(推捧)하고 갚지 않을 경우 다시 독촉하라고 하였다.
7.송흠정 소지 1매
회인 사는 송흠정이 금양(禁養)산의 밤나무를 연진여(延震汝)가 찍어내자 관에 소를 올리니 사실여부를 조사하여 엄하게 다스리고 연진여를 즉각 잡아오라고 제(題)를 내렸다.
8. 문의(文義) 사는 송명규․송흠덕 산송 소지
이 두사람이 그의 증조부 산소 계단 아래 5~6보 내에 이정득이 암장을 하려하므로 이 사실을 회덕관(懷德官)에 고소하자 묘를 옮겨 이장하려는 자를 반드시 잡아오라고 판시하였다.
9. 가대(家垈)・시목(柿木)・토지 매매문기 6매
嘉慶21년(1816)부터 광무10년까지 강천석・육재관・송진규・송병석・노영철(奴永哲)등의 초가집, 감나무 및 토지 매매문기
10. 완문
진산관(珍山官)이 공주 권진보 댁에 내린 것으로 200여년 된 금양수호처를 말류들이 해치지 말도록 잘 보호하라는 입지(立旨=일종의 증명서)를 기묘년 11월에 내린 문서이다. ‘진산’은 충남 논산지역의 옛 지명이다.
11. 토지 및 가대 매매문기 5매
송병석・송상도 등 융희・대정연간에 거래된 매매문서
12지적도, 지세명기장 등 5매
일제 명치 45년의 송병석 지적도
금산군, 전북 진산군, 충남 대전군
13산 도형(山圖形)
송흠정과 오회수 사이에 서로 다툼을 없앨 목적으로 그린 산도로 서로 시끄러운 싸움을 종식시키기 위하여 그렸다고 함.
14. 문의 사는 송흠덕과 공주 사는 박광묵의 산송
그들의 조부 산꼭대기를 몰래 팔아먹은 일로 회덕관에 소를 제기한 바, 무술년 10월 제음에 강이준이 오가 양반을 잡아와서 대질신문 후에 장사를 금하게 하라고 판시.
15. 회인 사는 송흠정의 산송
내종이 몰래 팔아먹은 산은 오가 양반이 산 땅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소를 낸 바 회덕관이 경술년 2월18일에 이는 지나치게 염려한 바라고 제음으로 판시.
16. 유학 송병석의 소지 2장
도조를 내지 않아 진산관에 소를 제기하여 가을걷이 뒤에 받으라고 제음을 받은 바 병오년(=1906) 7월에 다시 번거롭게 소를 올리지 말라고 판시.
17. 공주 사는 송경수 소지 2장
5대조를 모신 조산의 나무를 다 베어간 자를 잡아 달라는 소를 회덕관청에 올린 소이다.
무인년 제음에 산직이의 잘못이 크니 일후에 각별히 힘쓰고 도벌한 자는 누구인지 알 수 없어 잡지 못했다고 판시.
18. 회인 사는 송흠정 상서 3장
송흠정과 오태정간의 산송으로 회덕관과 충청감영에 경술년과 신해년에 소를 올린 것
제음에 원고・피고가 서로 대질하고 도형을 살펴 상세히 조사하여 명확히 밝히라고 판시.
19. 공주 사는 송경수 산송 소지 1장
송경수 6대조 산에 투장을 하여 옮기로 한 헌조의 3종손 송석정이 시끄럽게 굴자 이를 막아 달라고 소이다.
제음에 의혹됨이 있어 상세히 조사하기 위하여 그를 데리고 와서 변정하라고 함.
20. 이장 시 운수 단자.
장지에 대한 평가에서 지사(地師)는 1년 안에 귀한 자식과 만복이 이르러 부귀권세가 있다 하고, 금정(金井)은 먼저 오는 부는 500석 나중에 오는 귀는 군수정도에 이른다고 함.
21. 산송 도형 소지.
동성 간 도형을 그린 산송으로 진산관청에 소를 올리자 경진년 10월 25일자 제음에 여러 사람의 공의에 따라 처리하고 더 이상 시끄럽게 하지 말라고 판시.
22. 공주 사는 송경수 산송 소지
송경수 6대조 산에 투장한 송헌오 형제의 묘를 곧장 옮기게 해달라는 소를 올리고자 작성한 소지.
23. 회덕 사는 송일규 산송 소지
원고가 15년 된 종인 계우 선조 묘를 파묘하라고 소를 올리자 무인년 5월 13일 제음에 이제 와서 파묘하라는 것은 말이 안 되고 다투지 말고 분묘를 잘 보호라고 함.
24. 건륭연간 교지 등 8점
乾隆48년(1783) 宋基道 등 교지 7점
嘉慶3년(1798) 宋孝相 교지 1점
25. 사조단자(四祖單子)를 갖춘 과지 3점
宋克相의 과지 등 3점
26. 宋○相 석인(石印)
(2) 필사본·한적류 등 112책
1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잠영총보 簪纓總譜]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시대(경신년)
21x19.5cm, 83張
東國姓譜, 文廟享祀位, 士禍, 壬辰·丙子史略, 完山李氏 등 각 성씨별 대표 인물을 약기하였으며, 붉은 색 권점과 비점이 있다. 권말에 ‘庚申臘月十七日終’의 필사기가 있다.
표지의 ‘甲戌二月 日’은 1934년 개장할 때의 기록으로 보인다.
2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유몽선습 幼蒙先習] 필사본
송종헌, 1924
21x20.5cm, 14張
[동몽선습]을 필사한 것으로, 권말에 ‘甲子(1924)九月十七日證書人宋宗憲’이 있다.
표지에 쓰여 있는 ‘송두헌(宋斗憲)’은 송종헌의 아우이며, 부여 간곡서원(艮谷書院)에 걸려 있는 ‘간곡단소기(艮谷壇所記)’를 1950년에 지었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3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명장 鳴將] 필사본
필사자 미상(은진송씨 가장본), 조선시대(병자년)
18.5x12cm, 53張
[시경] 대아 ‘생민’ 등을 필사하였으며, 앞표지에 ‘丙子八月初七日’의 필사기가 있다.
4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당음 唐音]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시대
22.5x20cm, 36張
송지문의 ‘途中寒食’ 등의 당시를 필사하였다. 낡은 부분은 후에 새로운 종이를 덧대어 보사하였으며, 얼룩이 있다.
표지에 ‘唐音 杜審言 必簡’과 ‘甲子(1924)六月初一日’과 뒤표지 안쪽에 ‘篇主人段衣證出 宋宗憲’이 있는데, 1924년에 보수 개장한 기록으로 보인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5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간독축문보람 簡牘祝文寶覽] 필사본
송종헌, 1925
29.7x20.3cm, 50張
행초서 간독과 各邑古號道里類, 諸營, 山訟請, 婚書新式, 冠禮三加儀, 祝文式, 祭文式 등이 정서되어 있다.
38張에 ‘邊洞里精舍證書人宋宗憲’, 권말에 ‘大正十四年(1925)陰四月初六日記 冊主 宋宗憲’이 쓰여 있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6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논어집주대전 論語集註大全] 제8~10편 필사본
송종헌, 1923 개장
32x19.5cm, 39張
태백(泰佰)·자한(子罕)·향당(鄕黨) 편을 정서하였다.
표지에 ‘癸亥(1923)九月十日改匣’과 권말에 ‘證書人宋宗憲’이 쓰여 있다.
7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목재집 牧齋集]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시대
23.5x15.3cm, 38張
표제는 ‘牧齋集’으로 명말청초의 관리이자 시인이며 학자로, 동림당의 지도자인 목재(牧齋) 전겸익(錢謙益, 1582~1664)의 시가 다듬이 장지에 정서되어 있고, 이면지에는 [논어], [玉樞經] 등이 필사되어 있다.
표지 안쪽에 ‘辛酉歲孟冬書于華陽洞’ 등이 쓰여 있다.
8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고문진보] 필사본 등 6책 일괄
조선시대
26.5x19cm 외, 37張 외
- [고문진보 古文眞寶] 1
26.5x19cm, 37張
표지에 ‘甲子(1824)七月十九日改’의 가의 기록과 ‘大田郡 柳川面 邊洞里 宋宗憲 冊’의 소장기록이 있다.
- [고문진보 古文眞寶] 2
26.5x17.1cm, 8張
낡은 부분을 보수·보사하였다.
- [고문진보 古文眞寶] 3
24x22cm, 22張
손상된 표지에 ‘壬辰閏九月日’의 필사기가 있다. 좌측 상단에 손상이 있다.
- [고문진보 古文眞寶] 4
21.5x11cm, 25張
‘적벽부’ 등을 필사하였으며, 모서리 등에 손상이 많다.
- 이소경 離騷經
26x16cm, 35張
‘이소경’과 ‘東皇太一’ 등을 다듬이 장지에 정서하였고, 이면지에 ‘남녀오행궁합길흉법’ 등이 필사되어 있다. 낡은 가의 안쪽으로 구 표지가 있는 고본이다.
- 초한연의 楚漢演義
24x22cm, 16張
9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소중중 [여수기 與受記] 등 종중재산관리 자료 필사본 6점 일괄
21.5x20.5cm 외, 8張 외
- 與受記
송종헌, 1927.11.1.~1935.9.7.
표지에 ‘丁卯十一月一日 宋宗憲’의 성책일이 적혀 있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 旧珍山所良洞稻粗記
1923~1934
- 宗中稧冊
1930~1939
표지에 ‘庚午十月二十二日建設’의 성책일이 적혀 있다.
列名, 1930~1937년의 布散記, 錢入記 등 1939년까지의 기록이다.
- 외 山貰記와 日記 3점
10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소중중 [축문식 祝文式] 등 4점 일괄
24x17cm 외, 11張 외, 필사본
- 祝文式
신묘년
‘開基祝文’ 등이 필사되었고, 표지 손상과 파장이 있다.
- 開塋域祠土之具祝文 등
단아하게 정서하였으며, 앞표지가 탈락되었다.
-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이 1962년에 쓴 축문
- 외
11
지역별 호수(戶數)와 양역 인원을 기록한 [팔도호구 八道戶口] 등 필사본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25.8x15.8cm, 23張
경기·충청좌우도·전라좌우도·경상좌우도·황해도·강원도·평안도·함경도 순의 팔도호구와 진(鎭), 속오군, 남구만·김수항의 의견 등을 필사한 고본이다.
12
익주부자묘비서(益州夫子廟碑序) 등 명문 필사본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28x19.2cm, 26張
왕발(王勃)의 ‘익주부자묘비’, 조식(曹植)의 ‘낙신부(洛神賦)’ 등의 명문을 단아한 필체로 정서하였다.
13
군사학 백과 [등단필구 登壇必究] 六士卷一 등 필사본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19.5x12.5cm, 42張
‘輯六士說’ 등 일부 내용을 정서하였다.
[등단필구]는 명나라의 장군 왕명학(王鳴鶴)이 편찬한 군사학 서적이다. 1599년(만력 27) 처음 간행되었다. 총 40권이며 560여개의 삽화가 첨부되어 있으며, 군사학과 관련된 72개의 항목을 분류하고 있다. 천문(天文)·지리(地理)·모략(謀略)·훈련(訓練)·상벌(賞罰)·적정(敵情)·진법(陣法)·의술(醫術)·점술(占術) 등 군사학에 필요한 모든 지식을 소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역대 병법서와 명장(名將)의 승전 사례 등도 상세히 기록한 군사학 백과전서이다.
14
초결백운가 草訣百韻歌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27x16cm, 18張
파장과 구멍 등 흠결이 있는 고본이다.
15
역학서 [神課金口訣] 卷之下 필사본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17.5x12cm, 71張
크기와 지질이 다른 두 가지 종이에 필사하였으며, 낡은 모서리에 판독이 어려운 부분도 약간 있다.
16
의서류와 풍수류 필사본 5점 일괄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 묘방 竗方
20.5x19cm, 48張
표제는 ‘童蒙先習’으로 되어 잇고,
- 상한병기 傷寒病機
25x17.5cm, 10張
- 수리청탁결 袖裏靑橐訣
정사년, 22.6x10.8cm, 12張
설명문에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 종약신방 瘇藥神方
경자년, 14x18cm, 30張
- 순제법 唇臍法
15x11.5cm, 10張
충식이 있다.
17
간독·행용문 등 서식 필사본 5책 일괄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외
- [한훤찰록 寒喧札錄] 乾
23.5x20.6cm, 36張
원 표지에는 ‘黃馬至月 日’의 필사기가 있고, 가의 표지에는 ‘甲子(1924)八月初一日’의 개장 기록이 있다.
- 병풍대산 屛風對山
23x20cm, 55張
‘寄兒書’ 등의 서간문을 초서로 쓰고 세필로 정자를 병기하였다. 이면지에도 서간문이 쓰여 있다.
- 간식 簡式
을묘년, 22x14.5cm, 33張
- 행용문기책 行用文記冊
24.5x15.5cm, 48張
- 어안집 魚鴈集
송종헌, 1924, 32x21cm, 23張
표지에 ‘甲子八月十日始終’과 권말에 ‘簡牘卷第一終 證書人 宋宗憲’의 필사기가 있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18
[천자문] 필사본 2책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외
- [천자문 千字文] 고본
24x15cm, 39張
천자문의 낱 글자와 관련된 명구를 세필로 기록하였으며, 6~7장은 후에 보입하였다. 권말에 ‘主 宋進士 宅’의 소장기록이 있다.
- [천자문 千字文]
병술년 18.5x24.5cm, 21張
표지에 ‘丙戌二月 日’의 필사기가 있다.
19
조문록 필사본 7점 일괄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외
21.5x20.7cm 외, 9張 외
- 병오년10월 부의록과 조문록
- 갑인년 2월 조객록
- 갑술년 3월 조문록
- 을해년(1935) 2월 위언록(慰唁錄)
- 신묘년 4월 부의록과 조객록
20
[동몽선습]·[명심보감] 필사본 2책 일괄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외
- 동몽선습 童蒙先習
무신년, 20.5x19cm, 24張
마모되어 보수한 책장 등 흠결이 있는 고본이다. 권말에 ‘歲在戊申季冬下澣 禮坪書齋謄終’의 필사기가 있다.
- 명심보감 明心寶鑑
송종헌, 1924, 22x20.3cm, 22張
[사자소학]과 [명심보감]을 정서하였다.
권말에 ‘甲子四月二十六日始終 證書人 宋宗憲’의 필사기가 있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21
[용음 龍吟] 필사본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기해년)
18.5x21cm, 11張
崇禎三丁酉(1777)에 任眞翕이 서문을 지은 ‘黃山記行’과 ‘沿江八景’ 차운시 등이 필사되어 있다.
22
풍수지리서 [무감편 無憾篇] 필사본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27x23cm, 35張
[무감편]은 1721년 정두만이 풍수지리의 원리와 용맥의 형세에 대하여 논술한 지리서이다.
‘問答第一’·‘物理第二’·‘形勢第三’의 순으로 기술되어 있고, 권말에 ‘昭平二年戊午秋道詵書于金蘭’으로 도선국사의 글이라는 구절이 있으나 확인할 수 없다.
표지는 낡았으나, 본문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23
[역기 曆記] 필사본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27.2x17.9cm, 23張
‘甲午時憲書’~‘辛未時憲書’ 천세력(千歲歷)과 경기도 등 팔도 관직과 역을 필사하였다.
24
상례비요 喪禮備要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34.5x23.5cm, 98張, 목판본
[상례비요]는 조선시대 학자 김장생(金長生)이 신의경(申義慶)의 초본을 바탕으로 여러 [가례] 연구서와 조선의 시속(時俗)을 반영하여 상례와 제례를 시행할 때 지침이 되도록 편찬한 예법서이다.
1621년 초간되었고 1648년 돈암서원에서 개정본을 간행하였다. 출품물은 권말에 ‘乙酉孟夏書院重刊’의 간기가 있으며, 정확한 연도가 확정되지 않은 을유년(1705, 1765, 1825)의 돈암서원 중간본으로 확인되며 불분권 1책이다.
책장 하단의 손상된 부분은 몇 차례 보수를 거친 듯 재질이 다른 종이에 보사되어 있다.
25
古本 [송조사상절 宋朝史詳節] 卷之三
편자 미상, 조선시대
35x23.5cm, 82張, 목판본
[송조사상절]은 송의 역사를 중심으로 하여 요·금 및 원의 역사를 부록하고 명의 건국까지를 기록한 편년체 사서이다.
권3 1책의 영본이며, 구멍과 오염, 파장과 모서리 손상 등의 흠결이 있는 고본이다.
26
[두율 杜律] 등 시 필사본 24책 일괄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 家藏, 조선시대
- 두율 杜律
18x11.6cm, 69張
다듬이 장지에 세필로 정서한 수진본으로, 구멍과 얼룩 등의 흠결이 있는 고본이다.
- 무제
25x17cm, 40張
정서본으로 후반부에 극세필로 필사한 것이 눈에 띈다.
- 옥부 玉賦
갑술년, 20x9.7cm, 20張
- 송종헌이 필사한 杜律
1924, 33x20.3cm, 23張
권말에 ‘甲子五月二十九日 證書人 宋宗憲’의 필사기가 있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 외
27
대전 유천면 변동리 [은진송씨세계 恩津宋氏世系] 등 수진필사본 족보 3점
- 은진송씨세보 恩津宋氏世譜
18세기 후반
펼 때 10.5x67cm 접을 때 10.5x4.5cm
시조 송대원부터 1774년생 송환시(宋煥時)의 형제까지 기록되어 있다.
- 은진송씨세계 恩津宋氏世系
1922, 15x10.5cm, 41張
23대조 시조 송대원(宋大原) 부터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의 형제까지 抄한 세계와 기일·축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표지에 ‘壬戌十一月二十日抄’의 필사기가 있다.
- 세보 世譜
1920년대
펼 때 11.5x140cm 접을 때 11.5x6.7cm, 양면
시조 송대원부터 1878년생 송병석(宋秉奭)의 3남(宗憲·斗憲·沮憲)까지 기록되어 있다.
28
[석곡집 石谷集] 건곤 2책 완질
대덕 일사재(一事齋), 1971
18.8x19cm, 98張 외, 석인본
송시열·송준길의 문인 송상민(宋尙敏, 1626~1679)의 시문집이다.
송상민은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자신(子愼), 호는 석곡(石谷). 아버지는 송시흥(宋時興)이다.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의 문인이다. 어려서는 서기(徐起)에게서 배웠다.1660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곧 송시열이 있는 회덕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력하였다. 1674년 효종비인 인선대비가 죽자 모후 조대비의 복제 문제로 송시열이 덕원으로 유배되자 송시열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소를 올렸다.
이로 인하여 당시 영의정이던 허적의 탄핵을 받고 궁궐 앞에서 장살되었다. 이듬해인 1680년 경신출척으로 공조좌랑에 추증되었다. 대전의 정절서원(靖節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석곡봉서 石谷封書]가 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29
송제영(宋悌永)의 [후석집 後石集] 12권 6책 완질
대전 回想社, 1984
29x19.7cm, 114張 외
저자 송제영(宋悌永)의 본관은 은진(恩津)이며, 극재(克齋) 송병관(宋炳瓘, 1875~1945)의 문인으로 1980년대 초까지 문필 활동을 하였고, [후석집]은 저자 생전에 간행되었다.
30
기묘명현(己卯名賢) 김정(金淨)의 [충암연보 沖庵年譜]
김홍만 刊, 1972
28x19.3cm, 79張, 석인본
15세손 김홍만(金洪萬)이 문집 5권 1책과 연보 2권 1책을 간행하였는데, 연보에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새로 채록한 기사를 보입 편차하였다.
31
송정헌(宋廷憲)의 [석운후집 石雲後集] 2책
1988
26.7x19.5cm, 99張 외, 영인본
송정헌(宋廷憲)의 문집 후집으로 친우 회은(懷隱) 김주현(金珠鉉)이 수습·선사(繕寫)하였다는 간행 내력이 있는 1988년 민영대(閔泳大)의 발문이 있다.
권1 목록 하단에 소장인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의 서명과 인장이 있다.
32
은진송씨가장유승 恩津宋氏家藏遺乘
은진송씨 잠부공파, 1973
28.6x19cm, 128張, 국문 번역본, 석인본
잠부(潛夫) 송여려(宋汝礪, 1464~1504) 등 은진송씨의 유적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머리말 하단에 소장인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의 서명과 인장이 있다.
33
[은진송씨족보 恩津宋氏族譜] 乾
은진송씨 우송당파, 순조 정해년(1827)
31x20.5cm, 39張, 활자본
표제는 ‘恩津宋氏派譜’로, 우송당파(友松堂派) 파보이다.
34
[은진송씨가사집 恩津宋氏家史集] 全
1957
29x20.5cm, 124張, 석인본
권두에 1956년 송태섭(宋台燮)의 ‘家史補遺序’, 권말에 1957년 송정섭(宋廷燮)의 발문이 있다.
습기로 인한 얼룩이 있다.
35
창구당유고 부소창시고 滄邱堂遺稿 附少滄詩稿
1973
28x19.3cm, 74張, 석인본
기묘명현(己卯名賢) 김정(金淨)의 증손 창구당 김성발(金聲發, 1669~1642)의 시가와 산문이 수록되었으며, 끝에 10대손 김기택(金基澤)의 [소창시고 小滄詩稿]가 합철되어 있다
권두에 1973년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의 서문, 권말에 1972년 김홍만(金洪萬)의 識가 있다.
36
[은진송씨정선공파보 恩津宋氏旌善公派譜] 全
은진송씨 정선공파, 1981
29x20.9cm, 112張, 영인본
파조는 정선군수를 지낸 송선(宋璿)이다. 종손 송철용(宋喆用) 등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말에 은진송씨파계도와 항렬표가 있다.
37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全
은진송씨 잠부공파, 1973
28.6x19cm, 124張, 석인본
파조는 잠부(潛夫)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이며, 권수에 1973년 송정헌(宋廷憲)의 서문, 권말에 15대손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의 識가 있다.
송사민(宋斯敏) 등 선대의 묘표·행장·묘갈명·유적 117편을 수록하였다.
38
[은진송씨파보 恩津宋氏派譜] 4권 4책
은진송씨 을해보(1875)
34x22.5cm, 91張 외
권1~3는 默菴公派, 권4는 主簿公派·友松堂派·副尉公派·參奉公派·默菴公派가 수록되어 있다.
권4 말에 1875년 생원공 14대손 송병문(宋秉文)의 識가 있다.
표제는 ‘生員公派 恩津宋氏派譜’로 되어 있다. 각 책의 표지에 소장인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의 서명이 있다.
39
[대학·중용·주역 계사전]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시대(1652)
31.6x18cm, 54張, 필사본
[대학]·[중용]과 [주역]의 계사 상전 12장·계사 하전 1~3장을 정서한 고본으로, 표제는 ‘大學 中庸 周易’이다.
[대학] 다음에 ‘乙巳三月二十九日 渼湖書院復享祭文’이 있고 끝에 ‘崇禎紀元後壬辰(1652)之夏書于無愁精舍’의 필사기가 있다.
[주역] 계사전에는 세필로 병기한 한글이 보이며, 이면지에는 ‘中庸 序’ 등이 필사되어 있다.
낡은 책장은 보수하였고, 얼룩 등의 흠결이 있다.
40
풍수서 좁쌀책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시대
펼 때 11.6x173cm 접을 때 11.6x6.4cm, 양면
홍범오행(洪範五行), 파묘운(破墓運), 쌍산오행(雙山五行), 오행상극상생장법(五行相剋相生葬法) 등 풍수관련 내용이 필사되어 있다.
41
문방구 분첩(粉貼) 수진절첩본
조선시대
펼 때 14.4x80cm 접을 때 14.4x16.5cm
글씨 연습용 분첩으로 두꺼운 종이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되었다.
‘大田郡 柳川面 邊洞里 宋宗憲 殿’ 등이 쓰여 있다.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은 은진송씨 잠부공파조 송여려(宋汝礪, 1464~1504)의 15대손으로 1970년대 [은진송씨잠부공파문헌록 恩津宋氏潛夫公派文獻錄] 등의 간행에 관여하였다.
42
[선원세계 璿源世系] 좁쌀책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시대(병진년)
펼 때 5.7x70.5cm 접을 때 5.73.5x3.5cm, 양면
조선왕조 선원세계,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기가 필사되어 있다. 표지에 ‘赤龍(丙辰)貳月日’의 필사기가 있다.
43
[요람 要覽] 좁쌀책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시대(병진년)
펼 때 7.5x128cm 접을 때 7.5x4.5cm, 단면
기복일(祈福日), 이사 방위 보는 법 황흑도길흉일(黃黑道吉凶日), 작명법(作名法), 남녀지법(男女知法) 등이 필사되어 있다. 표지에 ‘赤龍(丙辰)子日’의 필사기가 있다.
44
[은진송씨족보] 좁쌀책 필사본
필사자 미상, 조선 순조조
펼 때 9x57cm 접을 때 9x3.8cm, 양면
은진송씨 시조 송대원(宋大原)에서 1820년에 사망한 송환승(宋煥昇)의 아들 송성규(宋成圭)까지 기록된 간략한 족보이다.
45
[신방 神方] 필사본 좁쌀책 2점
- 증상과 처방
조선시대(갑오년)
10.2x6.8cm, 24장 양면 절첩
- 약방문
조선시대
11.4x6cm, 30장 양면 절첩
2점을 보관하는 포갑이 있다.
46
[은진송씨족보 恩津宋氏族譜] 권8·9 2책
조선시대
36.5x23cm, 49張 외, 목판본
11세~16세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9는 영천파(榮川派) 별보(別譜)가 있다.
총 10책 중 영본 2책이다.
(3) 간찰류 47점
1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간찰
17세기
29x42.5cm, 종이에 먹
“대감의 편지를 받아 기쁘기 그지 없으나 변이가 많아 근심에 두렵고 당황스럽다. 그 외 땅에 묻은 죽은 자식의 반곡에 갔고 올린 소가 보탬이 될까 걱정되며 제사 지낸 일로 심신이 몹시 피곤하다”고 한 내용의 글이다.
* 송준길(1606~1672)
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이다. 이이와 김장생의 문하생으로 서인 중 청서파로서 공서파인 김자점을 탄핵하여 청서파의 집권을 가져오고 효종과 함께 북벌계획을 적극 추진했으며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효종 사후 현종 즉위 때, 자의대비 복상문제로 예송이 일어나자 기년제(만1년)를 주장하여 승리하고 이조판서까지 역임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간찰
17세기
25.5x39cm, 종이에 먹
"유모(劉某)를 궁에 들어와 배알하는 것이 놀랄 일이고 이조판서에 그를 천거한 것은 더욱 괴이하고 의아해 신칙하여 올릴 계획이나 저 보기를 역병같이 보고 형의 숙질도 뜻에 움직이지 않으니 크게 힘쓸 일은 아니라"고 하는 내용의 글이다.
* 송시열(1607~1689)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 ·우재(尤齋)·문정(文正)이다.
주희와 이이의 학문을 모범으로 삼았다. 효종 대 중국 청나라에 대한 복수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북벌에 동참하였고, 현종대 화양동을 비롯한 고향에 은거하며 존주대의의 확립에 힘썼다. 숙종 대 초반 예송의 책임을 지고 유배 생활을 겪은 뒤, 경신환국 이후 다시 출사하여 조선중화주의의 실현에 앞장섰다. 그러나 원자 정호를 반대한 이유로 기사환국 때 사사되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3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 간찰 1
丁巳(1677) 正月
26.5x40.5cm, 종이에 먹
동남쪽 멀리 해안가 귀양지에서 편지를 받고 보니 위로가 되고 고모상에 가슴이 미어진다고 하였다. 집사람이 숙병에 탕제를 복용하여 매양 근심스러운데 각종 재료와 초를 받아 감사함을 표하는 답서이다.
* 김수항(1629~1689)
조선 후기에, 예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절의로 이름 높던 김상헌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했으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인 송시열·송준길(宋浚吉)과 종유하였다.
특히 송시열이 가장 아끼던 후배로서 한 때 사림의 종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할 때 송시열을 옹호하고 외척과 가까운 노론의 영수가 되자, 소론 명류들에게 배척을 받기도 하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 간찰 2
辛酉(1681) 二月
28.5x36.5cm, 종이에 먹
김수항이 부여현감에게 보내는 답장으로, “딸의 상에 위문편지와 부의를 보내주신 것에 감사하고 본인은 숙환이 깊고 고질이라 수개월을 고생하다가 요 근자에 조금 나았다”고 하는 내용의 글이다.
* 김수항(1629~1689)
조선 후기에, 예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절의로 이름 높던 김상헌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했으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인 송시열·송준길(宋浚吉)과 종유하였다.
특히 송시열이 가장 아끼던 후배로서 한 때 사림의 종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할 때 송시열을 옹호하고 외척과 가까운 노론의 영수가 되자, 소론 명류들에게 배척을 받기도 하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퇴우당(退憂堂) 김수흥(金壽興) 간찰
乙未(1655) 正月
27x40cm, 종이에 먹
금성관에게 보내는 새해 문안편지로 금성 관노 편에 바로 부친 것이며, 도중에 없어지지는 않았는지 묻고 있다.
* 김수흥(1626~1690)
조선후기에 호조판서,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영의정을 지냈다.
송시열(宋時烈)을 마음의 스승으로 존경하여 그의 뜻에 따랐다. 역대의 왕에게 시폐소(時弊疏)를 올려 백성의 편에서 정치하기를 힘쓰고 정치의 혁신을 여러 번 건의했다.
저서로는 [퇴우당집(退憂堂集)] 5책이 전해지고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6
정관재(靜觀齋) 김만기(金萬基) 간찰
17세기
25x37.5cm, 종이에 먹
“말씀하신 답장에 이에 식암의 뜻이 근엄하기는 하나 빼거나 고쳐 다시 아뢰는 것이 좋겠다고 하며, 이 편지는 보고 나서는 찢어버리라”고 했으나, 400년 가까이 된 2024년 봄날 경매에 나와 임자를 기다리고 있다.
* 김만기(1633~1687)
자는 영숙(永叔), 호는 서석(瑞石)·정관재(靜觀齋),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사계 김장생의 증손이다. 구운몽을 지은 서포 만중은 그의 아우이다.
숙종이 즉위하자 국구(國舅)로서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에 승진되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총융사(摠戎使)를 겸관해 병권을 장악했고 김수항(金壽恒)의 천거로 대제학이 되었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7
동강(東崗) 조상우(趙相愚) 간찰
戊子(1708) 五月
28.5x41cm, 종이에 먹
(편지를 보내주신 분이) “더운 여름에도 정사를 잘 돌보아 다행이다. 본인은 병을 부여 앉고 공무에 힘쓰니 몸을 지탱하기 힘들어 고민이고, 보내주신 3가지 종류 물건은 잘 받았다”는 고마움을 전하는 답장이다.
* 조상우(1640~1718)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조기(趙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희보(趙希輔)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조형(趙珩)이다.
어머니는 목장흠(睦長欽)의 딸이다. 이경석(李景奭)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1657년 사마시에 합격한 뒤 송준길(宋浚吉)의 문인이 되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8
회와(晦窩) 이인엽(李寅燁) 간찰
己丑(1709) 九月
32x42cm, 종이에 먹
“지관이 오지 않아 산행이 늦어져 고민이고 산운세가 좋지 않으면 묘를 옮길 계획에 지체할 날이 많아 한번 보자고 하였으며 보내주신 각종 물건을 받아 감사하다”고 한 내용이다.
* 이인엽(1656~1710)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계장(季章), 호는 회와(晦窩). 이대건(李大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시발(李時發)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이경억(李慶億)이며, 어머니는 윤원지(尹元之)의 딸이다.
일찍이 1689년 숙종이 희빈 장씨(禧嬪張氏) 소생을 원자로 정하는 사건을 계기로 서인이 정계에서 물러나게 되었는데, 숙종이 중전 민씨(閔氏)마저 폐하려 하자 전 한림으로서 전 판서 오두인(吳斗寅), 전 참판 이세화(李世華), 전 응교 박태보(朴泰輔)등의 재야 서인인사들과 더불어 반대소를 올리는 데 참여하였다.
그 뒤 정계에 복귀하여 양역변통(良役變通)을 주관하였으며, 강화유수로서 치적을 남겨 사당이 세워졌다. 특히, 강화부 방비를 위한 진(鎭)의 설치에 관한 이인엽의 견해는 탁월한 것으로 평가받아 후대까지 종종 인용되었는데, 정조대에 이르러 실제 시행에 옮겨지기도 하였다.
벼슬이 행이조판서·홍문관대제학에 이르렀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9
식암(息庵) 김석주(金錫胄) 간찰
乙六 初二
30x40cm
“오랫동안 소식이 없다가 찐 더위에도 벼슬살이가 편안하다고 하여 안심되고 본인은 매일 바삐 보내 피곤이 쌓여 사호를 복용하여 몸을 보하고 있으며 이곳 북쪽 길은 안정적인 곳인데 역에서 소란을 피워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보내주신 12자루 초에 감사함을 필설로 다 할 수 없다”고 한 내용이다.
* 김석주(1634~1684)
조선후기 이조좌랑,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영의정 김육의 손자이자 병조판서 김좌명의 아들이다. 서인 중 한당에 가담해 집권세력이던 산당에게 중용되지 못하다가, 1674년 자의대비 복상 문제로 제2차 예송이 일어나자 남인과 결탁해 산당을 숙청했다.
남인세력이 강화되자 다시 서인과 제휴해 송시열을 탄핵하려던 남인의 책동을 꺾는 등 남인세력 척결에 앞장섰으나 도가 지나쳐 서인 소장파의 반격을 받았고, 서인이 소론과 노론으로 분열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10
기오당(寄傲堂) 김우형(金宇亨) 간찰
乙丑(1685)
28.5x39cm, 종이에 먹
“세밑에 보고픈 차에 편지를 받아보니 정사를 돌보는 체후가 좋다고 하여 위로가 되며, 본인은 쇠약한 몸에 병이 떠나지 않아 괴롭다고 했다. 보낸 준 2가지 세밑 음식에 감사를 드리고 동손이 머물며 공부하여 문리가 더욱 나아졌다고 하였다. 화계 사는 박내휘는 최강일의 집 사람으로 고인이 되었는데, 한번 문안을 해주길 바란다”고 하였다.
* 김우형(1616~1694)
조선후기 한성부판윤, 개성유수,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도상(道常), 호는 기오당(寄傲堂). 김표(金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위남(金偉男)이고, 아버지는 김헌(金憲)이며, 어머니는 남탁(南晫)의 딸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계모를 정성껏 모셨고 예서에 능하여 숙종 때 보책(寶冊)을 자주 썼다. 저서로는 『옥산유고(玉山遺稿)』가 있다. 대구 용연사(龍淵寺)의 송파대사각민탑비(松坡大師覺敏塔碑)는 김우형의 글씨이다. 시호는 정혜(貞惠)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11
기천(沂川) 홍명하(洪命夏) 간찰
乙巳(1665)
27x40cm, 종이에 먹
김학사 지평이 부모님을 모시려 동주 군수로 나감에 병 때문에 작별인사를 하지 못하여 대신 홍명하 본인이 시를 지어 보낸 것임.
* 홍명하(1607~1667)
조선후기 이조좌랑, 대사헌, 형조판서, 좌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대이(大而), 호는 기천(沂川). 황해도 관찰사 홍춘경(洪春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홍성민(洪聖民)이고, 아버지는 병조참의 홍서익(洪瑞翼)이며, 어머니는 심종민(沈宗敏)의 딸이다.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으며, 특히 효종의 신임이 두터워 효종을 도와 북벌계획을 적극 추진하였고, 박세채(朴世采)· 윤증(尹拯) 등 명신들을 조정에 천거하였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순조 때 여주의 기천서원(沂川書院)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는 [기천집]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2
성담(性潭) 송환기(宋煥箕) 간찰
戊子(1768) 元月
32x40.5cm, 종이에 먹
"새해에 갑자기 받은 편지에서 초시를 합격하였다고 하여 기쁜데, 지내시는 체후가 강건하고 나이를 먹어감에도 학문을 더욱 좋아함이 더욱 부럽다고 하며 절로 부끄러움이 생긴다 하였다.
본인은 근심을 떨쳐 버리고 원래대로 돌아오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기며 합격 축하의 잔칫날 축하의 답장을 보냄에 70나이에 감회가 새롭다"고 하였다.
추신으로 "이씨 종시는 서쪽에서 돌아온 후 한 번도 문안하지 못해 마음이 언짢았는데 다행히 낯이 서게 됐다"고 하였다.
* 송환기(1728~1807)
조선후기 공조판서, 의정부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이며 학자이다.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자동(子東), 호는 심재(心齋)·성담(性潭).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인상(宋寅相)의 아들이다.
송환기는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문하에 많은 선비가 모여들었다. 저서로는 [성담집(性潭集)]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13~14
한환(韓鍰) 간찰
15~16
송문상(宋文相) 간찰
17
송환경(宋煥經) 간찰
18~19
송택규(宋宅圭, 1737~1783) 간찰
20~21
송우규(宋禹圭) 간찰
22~24
송흠서(宋欽書) 간찰
25
송지정(宋持鼎, 1809~?) 간찰
26
송문수(宋文洙) 간찰
27
송시연(宋時淵) 간찰
28
송필연(宋必淵) 간찰
外 19점
(4) 호구단자 13점
- 道光17년(1837) 송성규(宋成圭) 46세
- 道光23년(1843) 송흠덕(宋欽德) 28세
- 道光29년(1849) 송흠정(宋欽程) 34세
- 을묘식(1855) 송의규(宋儀圭) 49세
- 을묘식(1855) 송흠정(宋欽程) 40세
- 무오식(1858) 송흠정(宋欽程) 43세
- 신유식(1861) 송흠정(宋欽程) 46세
- 계유식(1873) 송흠정(宋欽程) 60세
- 기묘식(1879) 송경수(宋璟洙) 40세
- 임오식(1882) 송경수(宋璟洙) 43세
- 을유식(1885) 송철수(宋喆洙) 50세
- 외 2점
(5) 소지류 등 16점
- 道光27년(1847) 송진사 노비 춘성(春成) 수표
- 경술(1850) 회인 송생원댁 노비 춘성(春成)의 발괄
- 경술 2월 소지 제음
- 정해년 공주 송진사댁 노비 흥복(興卜)의 범작(犯斫)에 대한 발괄
- 무오년(1858) 회덕 한글 원정(原情)
부여관아에 보낸 소지로 세세하게 사실을 조사한 뒤 찾아 줄 일로 뒤에 기록한 여러 사람들을 한꺼번에 잡아 올 것. 초삼일
- 경진년(1880) 충청도 공주 송경수(宋璟洙)의 산송 단자 등 2점
- 경진년(1880) 송경수(宋璟洙) 관련 수표
- 공주 송(宋)의 투작(偸斫)에 대한 단자 등의 초안 2점
- 隆熙2년(1908) 송병석(宋秉奭, 1878~?)의 토지인증서
- 隆熙3년(1909) 회덕군 신부오면 길희순·송병석(宋秉奭) 등의 결전(結錢)에 대한 소지
- 大正11년(1922) 송병석(宋秉奭)의 토지매도 증서
- 大正13년(1924) 송병석(宋秉奭)의 토지매매 명문
- 갑자년(1924) 우송당(友松堂) 10세손 송병석(宋秉奭)의 족보 서문
송병석은 송종헌(宋宗憲, 1909~1995)의 부친이다.
송씨 대동보는 여산 및 은진에 기반을 둔 족보로 기해보·병오보·정해보가 있고, 이 파보는 10세조인 우송당부터 시작하는데 그의 둘째 아들인 시건 때에 병자호란으로 모두 흩어져 남으로는 대구까지 흘러 들어갔다. 이에 돈독하고 화목할 목적으로 이 파보를 만들었다. “친척이 다하고 상(喪)의 복(服)이 다하면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남남의 사람이 되지 않겠는가? 모든 우리 겨레들은 힘쓸지어다”라고 갑자년(=1924) 3월에 우송당 10세손 병석이 쓴 서문.
(6) 기타 70여 점
- ‘梅花詩’ 등 시축
23x430cm
- ‘用前韻’ 등 시축
26x330cm
- 大正2년(1913) 소작료통기서와 영수증(宋秉奭) 1점
- 大正6년(1917) 납부고지서와 영수증(宋秉奭 등) 7점
- ‘吉挟無改印’ 양각 목인
21.7x4.6cm
- 宋生員下執事回納 봉피
- 은진송씨대종회에서 송종헌(宋宗憲, 1909~1995)에게 보낸 망단(望單)과 봉피 3점
기축년(1949), 병오년(1966), 경신년(1980)
- 변동(邊洞)의 송종헌(宋宗憲, 1909~1995) 댁으로 보낸 사주와 납폐서 4점
- 혼수기(婚需記)
- 宋碩士 송종헌(宋宗憲, 1909~1995)에게 보낸 서찰과 봉피 2점
- 정묘년에 이경진(李敬鎭)이 쓴 서찰 2점(봉피 1점과 서찰 2점)
- 外 8대손 송병혁(宋秉爀)이 지은 제문 등 잡편 50여점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 및 반품은 책을 받으신 후 7일 이내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저희 고서향에서 판매중인 책들은 고서와 희귀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의 상태책정은 주관적인 부분으로 최소한의 참고용으로 안내해드리고 있으며,
고가의 서적인 경우 주문전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시면 책의 상태를 좀 더 상세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잘못 주문하셨거나 배송후 주문취소를 하시면 왕복배송료를 제외한 도서대금만을 배상해드립니다.
상담시간 : 10 :00 ~ 18:00(월~금)
배송기간 : 2일 ~ 7일(영업일기준)
KB국민은행 598001-01-330943
예금주 / 주식회사 고서향
회사명. 주식회사 고서향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2길 23-3 (신설동) 2층
사업자 등록번호. 650-81-00745
대표. 오주홍
전화. 010-9065-7405
팩스. 031-938-337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17-고양덕양구-0485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오주홍
Copyright © 2016 주식회사 고서향.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