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1903년 대한제국이 1864년 제네바협약(야전 부상병 보호 협약, 즉 적십자 조약)에 공식 가입했음을 국제사회에 통보한 영국 의회 제출 원본이다. 본문에는 영국 외무장관 Marquess of Lansdowne(랜즈다운)과 주영 프랑스 대사 M. Carlin(카를린) 간의 공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조선 정부가 1903년 1월 8일부로 협약에 가입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해 영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지 및 승인한 내용이 담겨 있다. 문서에 표기된 ‘Empire of Corea’는 대한제국의 국호를 서양식 외교 문서 체계에 맞춰 표기한 것으로, 이 시기 대한제국이 근대 국제법 질서와 인도주의적 규범에 편입되려 했던 외교적 노력을 보여준다. 이 인쇄물은 적십자 운동 및 인도주의 체계에 공식 참여했음을 입증하는 유일한 1차 문헌 중 하나로 평가된다.
1. 문서 개요
제목: Treaty Series No. 3, 1903. Accession of the Empire of Corea to the Convention signed at Geneva, August 22, 1864, for the Amelio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Wounded in Armies in the Field
날짜: 1903년 1월 8일 (대한제국의 협약 가입일)
발행: 런던,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인쇄: Harrison and Sons (국왕 전속 인쇄소)
발표: 1903년 2월, 영국 의회에 보고됨
2. 문서 내용 요약 및 번역
(1) 표지 및 서문
Presented to both Houses of Parliament by Command of His Majesty. February 1903.
→ “국왕 폐하의 명에 따라 1903년 2월, 양원(상원·하원)에 제출됨.”
대한제국이 제네바 협약에 가입한 사실을 영국 의회에 공식 보고한 외교 자료입니다.
(2) 제1문서 (No.1)
발신자: M. Carlin
수신자: The Marquess of Lansdowne (영국 외무장관, 당시 Henry Charles Keith Petty-Fitzmaurice)
날짜: 1903년 2월 3일, 런던
프랑스어 원문 요지:
“1903년 1월 8일, 대한제국이 1864년 제네바 협약(전장에서 부상병의 처우 개선을 위한 협약)에 가입했습니다. 본 서한을 공식 통보로 받아주십시오.”
영문 번역문:
“By direction of my Government I have the honour to inform your Lordship that, on the 8th January, 1903, the Empire of Corea acceded to the Geneva Convention of 22nd August, 1864, for the amelioration of the condition of wounded soldiers in armies in the field (Red Cross).”
한국어 번역:
“저는 정부의 지시에 따라 경(閣下)께 통보합니다.
1903년 1월 8일, 대한제국이 1864년 8월 22일 제네바에서 체결된 ‘전장에서 부상당한 군인의 처우 개선을 위한 협약’(적십자 협약)에 정식으로 가입하였음을 알립니다.”
(3) 제2문서 (No.2)
발신자: The Marquess of Lansdowne
수신자: M. Carlin
날짜: 1903년 2월 9일, 런던
“귀하의 2월 3일자 서신을 받았습니다.
그 서신에서 귀하는 대한제국 정부가 1903년 1월 8일 제네바 적십자 협약에 가입하였음을 통보하였음을 확인합니다.”
즉, 영국 외무부가 대한제국의 협약 가입 사실을 공식 접수했다는 회신입니다.
3. 역사적 배경과 의의
① 제네바 협약(1864)
186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체결된 국제 인도법의 시초로,
전시 부상자와 의료 활동의 중립 보장을 규정한 협약입니다.
적십자 표식(붉은 십자)을 공식 보호 표장으로 인정했습니다.
② 대한제국의 가입 (1903)
고종 황제 재위 시기, ‘근대 문명국’으로서의 위상 제고를 위해 서구 국제조약에 적극 가입하던 외교정책의 일환입니다.
1899년 만국우편연합(UPU),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 참가,
이어 1903년 제네바 협약 가입으로 이어집니다.
대한제국 정부는 당시 적십자사(대한적십자사) 창설의 기반을 마련하고, 국제사회에 독립국으로서의 존재를 천명했습니다.
③ 국제법적 의의
대한제국이 국제 인도법 체제에 가입한 첫 아시아 국가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이는 대한제국의 주권 인정을 국제사회에 재확인시킨 조치였습니다.
그러나 2년 후인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상실하면서, 이 협약의 실질적 효력은 일제하에서 사라졌습니다.
4. 요약 정리
문서명 : Accession of the Empire of Corea to the Geneva Convention (1864)
발행일 : 1903년 2월 (런던)
원문언어 : 영어 및 프랑스어
대한제국 가입일 : 1903년 1월 8일
발행처 :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런던)
주요인물 : M. Carlin, The Marquess of Lansdowne
내용 : 대한제국이 제네바 협약(적십자 협약)에 가입했음을 알리는 외교문서
의의 : 대한제국의 국제 인도법 체제 진입 및 근대 국제사회 참여 선언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 및 반품은 책을 받으신 후 7일 이내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저희 고서향에서 판매중인 책들은 고서와 희귀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의 상태책정은 주관적인 부분으로 최소한의 참고용으로 안내해드리고 있으며,
고가의 서적인 경우 주문전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시면 책의 상태를 좀 더 상세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잘못 주문하셨거나 배송후 주문취소를 하시면 왕복배송료를 제외한 도서대금만을 배상해드립니다.
상담시간 : 10 :00 ~ 18:00(월~금)
배송기간 : 2일 ~ 7일(영업일기준)
KB국민은행 598001-01-330943
예금주 / 주식회사 고서향
회사명. 주식회사 고서향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2길 23-3 (신설동) 2층
사업자 등록번호. 650-81-00745
대표. 오주홍
전화. 010-9065-7405
팩스. 031-938-337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17-고양덕양구-0485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오주홍
Copyright © 2016 주식회사 고서향.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