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덕성(德成) 최일봉(崔日鳳)의 육필초고
7책 등 근대사 자료 일괄
자필본 23x17.6cm, 56張 외
서예 104x34cm
최일봉이 남긴 육필 초고본은 7책이며, 책표지에 간행을 염두에 두고 대략을 기록한 책을 비롯하여 5책에는 표지에 목록을 남겼다.
본인의 3.1운동 투쟁일지와 대통령 등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시국에 관한 의견서와 논문, 4.19혁명정부 수립에 관한 내용이 다수 실려 있고, 내용이 중복된 부분이 있으나 당시 사회의 흐름을 파악하는 자료로 의미가 있다.
서예는 삼일운동 당시 송암(松菴) 오동진(吳東振 1889
~1944)에게 준 칠언절구를 1959년 무렵에 쓴 것이다.
- [1952, 유엔사절단 의장에게 再建國에 관한 호소문] 등
권두에 유엔사절단 의장에게 등기발송 후 반송된 피봉과 원문, 세계만민에게 애소문, 일본국민에게 충고문 등이 있다.
- [1955~1961, 장수건강 보급선전취지문] 등 18항
3.1독립학생만세기념탑 건립, 한글 약기에 관한 의견, 4.19혁명 등에 관한 내용이 있다.
- [1963~1964, 민족정기 갱생에 관한 진정건의서] 등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낸 각종 진정서
1963.3.17. 진정건의서 중에는 3.1운동 전후의 상황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어 근대사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1964년 독립유공자 재심 진정건의서는 본인과 아들 최창경(崔昌京)이 올린 것과 삼일운동에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정재용(鄭在鎔)의 재심호소진정서도 있다. 후반부에 있는 1963년 삼일절기념식에서 독립유공자로 표창을 받은 이후 대중에게 호소한 글 중에는 도산 안창호와 연관된 본인의 독립운동 이력 을 피력한 부분이 있다.
- [1957~1960, 건강장수에 관한 건] 등 16항
고구려 재건국, 3.1운동 당시 중국정부와 일본정부에
혈서로 독립을 호소한 내용, 안중근을 추모한 장시, 애국동지구명에 관해 흐르시초프에게 쓴 글 등이 있다.
- [1956~1960, 나의 일생 투쟁 고민기]
자서전에 기입할 파탑 본문, ‘무데기 투표금지 관한 논문’ 등이 있다.
- [1960~1961, 학생혁명정부 수립선언서] 등 17항
4.19혁명 건, 경찰복 개신에 관한 건의서 등이 있다.
- [1960~1961, 학생혁명정부 수립선언건] 등 13항
한글 약기(略記)에 대한 의견, 전국대학생에게 고하는 글 등이 있다.
필자 최일봉은 1884년 12월 20일생으로, 단원(檀園)·진려(眞麗)·고봉(高鳳)·경희(慶熙)·덕성(德成)·고주명(高主命)·정도령(正道寧) 등의 이칭을 사용했다.
1963년 삼일절기념식에 독립유공자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며, 3.1운동에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정재용(鄭在鎔 1886~1976), 33인 유가족 회장을 역임한 최경환 등과 교유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건강국가’를 주창하여 이승만·박정희에게 진정서를 올려 각 부처에 체육부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70세 중반에 전국체전 육상경기에 참여하였고, 철봉을 특기로 경희대 체육과 학생들에게 특강을 한 이력도 있다.
* '공훈전자사료관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서 인용
관리번호 | 8625 |
---|
성명 | 최일봉 | 한자 | 崔日鳳 |
---|
이명 | 崔德成 | 성별 | 남 |
---|
생년월일 | 1884-12-20 | 사망년월일 | 1970-06-22 |
---|
본적 | 평안북도 의주 義州 東外 295 |
---|
포상정보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의주에서 시위에 참가하고 일경의 감시를 피하여 동년 4월 만주를 거쳐 상해로 피신하였다.
상해에서는 삼육(三育)대학에 재학하면서, 1921년 9월에는 태평양회의를 기회로 북경(北京)의 각 신문에 "극동평화는 한국의 독립이 되지 않고는 원만한 해결을 얻지 못하리라."는 논문을 쓰는 한편, 경진보사(京津報社) 소진청(邵振靑)사장에게 혈서를 써 보내 한국의 독립을 적극 지원해 줄 것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1921년 10월 일본내 학생의 조직 공작 사명을 띠고 일본에 입국하였다가 1921년 11월 8일 동경(東京)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의주로 송환되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77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91면
- 동아일보(1921. 11. 21)
신의주 의주군 연통제 학생 건으로 3년 복역*함.